celina의 이것저것
Chapter 2-4 본문
DNS(Domain Name System)
인터넷에서 도메인 이름과 IP주소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시스템
도메인 이름과 해당 도메인 이름이 대응하는 IP주소를 관리
1. DNS 서버들의 계층구조로 구현된 분산 데이터베이스임
2. 호스트가 분산 데이터베이스로 질의하도록 허락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임
->그렇기때문에 도메인이름 <->IP주소 변환 기능 한다
그 밑에 나머지들은 그대로 쓰면됨
네트워크의 edge에서 처리하면 복잡도 안올라간다
제공하는 서비스
1. hostname <-> IP address
2. host aliasing(호스트 에일리어싱) : 호스트가 하나 이상의 별명을 가짐
canonical hostname(정식 호스트 이름)
3. mail server aliasing(메일 서버 에일리어싱) : 메일 서버가 여러개 별명을 가짐
4. load distribution(부하 분산) : 여러대의 컴퓨터나 서버에 작업을 작업을 분산하여 처리
중앙집중 방식의 문제점
1. 서버 고장 : 네임 서버 고장나면 전체 인터넷 작동안됨
2. 트래픽양 : 단일 DNS서버가 모든 DNS질의를 처리해야한다
3. 먼거리의 중앙 집중 데이터베이스: 단일서버가 뉴욕이면 호주에서의 질의는 느림
4. 유지관리 : 단일 네임서버는 모든 인터넷 호스트에 대한 레코드를 유지해야한다, 자주갱신해야함
1.루트 DNS서버
2.최상위 레벨 도메인(TLD)서버
3.책임 DNS서버
창원지역안에
로컬 DNS있음
내컴은 먼저 로컬DNS로감, 얘가 못찾으면 루트DNS로 요청 TLD알려줌 (com알려줌)
로컬이 다시 TLD에 요청함 책임서버를 알려줌 (네이버ip주소를 알려줄 책임서버(근데 이거 네이버가운영)를 알려줌)
로컬이 다시 책임서버에게 요청함 그럼 알려줌
근데 자기가 운영하는거니까 그제서야 알려줌
예) 내가 네이버 들어감 친구도 네이버 접속할때 로컬DNS에 이미 캐시가 있음(내가 네이버 들어갔었으니까) 그래서 굳이 DNS계층까지 가서 물어볼 필요없이 로컬에서 바로 전달 가능
-> 로컬 DNS는 프록시 역할을 한다
캐시가 업으면 루트계층으로 가서 물어보면됨
로컬DNS가 내가 원하는 IP주소를 알아내는 두가지 방법
1. 반복적 질의
위에방법임 로컬에 없으면 루트에 묻고 다시 로컬이 최상위에 묻고 다시 로컬이 책임서버에 묻고
2. 재귀적 질의
DNS캐싱
시간제한이 있어서 시간 지나면 캐시도 사라짐
DNS 레코드
DNS서버는 호스트이름을 IP주소로 매핑하기 위한 자원 레코드를 저장
A
NS
CNAMAE
MX
'대학생활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3-1 transport-layer services (0) | 2023.06.05 |
---|---|
Chapter 2-6(기말고사 범위) (1) | 2023.05.08 |
Chapter 2-3 (0) | 2023.04.15 |
Chapter 2-2 (0) | 2023.04.14 |
Chapter 2-1 (0) | 2023.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