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celina의 이것저것
[상속] 본문
반응형
상속과 메모리구조(헷갈려서 기록)
- 상속 관계의 객체를 생성하면 그 내부에는 부모와 자식이 모두 생성된다.
- 상속 관계의 객체를 호출할 때, 대상 타입을 정해야 한다. 이때 호출자의 타입을 통해 대상 타입을 찾는다.
- 현재 타입에서 기능을 찾기 못하면 상위 부모 타입으로 기능을 찾아서 실행한다.
super 생성자 헷갈리는것
- 상속 관계를 사용하면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에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반드시 호출해야 한다
'CS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네릭과 ArrayList (0) | 2025.06.21 |
---|---|
자바에서 제네릭을 쓰는 이유? (1) | 2025.06.11 |
[String] String 과 StringBuilder의 차이점 (0) | 2025.04.14 |
[다형성] 다형성->추상 클래스->인터페이스 (0) | 2025.04.14 |
[다형성] 객체지향의 꽃 (0) | 2025.04.02 |
Comments